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유퀴즈 김선웅 무술 감독 하는 일 액션스쿨 대역 배우 들어가는 방법 일과

by PUMA11 2021. 1. 28.
반응형

액션 현장에 없어선 안될 액션 배우 액션의 완성도를 높이고 완벽한 그림을 만들어 내는 액션 현장의 숨은 주인공 긴장감 넘치는 세상 속으로 김선웅 무술 감독 150편 정도 참여

요즘 자주 등장 공유 자기님이 부산행 언급하며 잘생긴 무술 배우분이 계시다 라고 한 분이 바로 이분

부산행에서 어떤 장면을 대역? 기사차가 멈춘 후에 선로를 뛰어가는 세 사람

많은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 그 장면

대역 촬영에서 특히 신경 쓰는 부분이 있는지 애겻ㄴ이 잘 나오는 것이 첫 번째

대역 티가 나면 몰입도가 깨질 수 있기 때문에 체격을 맞추려고 노력

그리고 동작 같은 경우도 액션 신이 아니더라도 배우를 지켜보면서 몸동작을 유심히 관찰해 특징을 파악하고 따라 하려고 노력

실루엣 싱크료율 100% 정우성 자기님과도 비슷

대역 배우 하는데 얼굴이 비슷하면 훨씬 유리하다. 뒷모습으로 찍을 수밖에 ㅇ벗는 것도 살짝 측면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할리우드에서 배우가 대역 배우와 찍은 사진을 보면 완전 남남 맞지만 정말 똑같다.

할리우드는 계약 조건에 명시가 되어있다. 계약서에 배우와 더블 액션을 위해 팔 둘레를 몇 인치로 맞춘다는 조항

유퀴즈 김선웅 흔히 생각하기에는 동작 그냥 만들어주고 배우들 대역해주고 이런 정도로만 생각하시는데 지금은 그 영역이 많이 확장돼 대본이 나오면 회의를 거쳐서 액션 신에 대한 전반적인 디자인을 함께 작업한다.

미공사관 글로리 호텔 액션 콘티 예시 액션 신을 효과적으로 연출하기 위한 동작과 동선을 구성해 비디오 콘티로 제작

한 신의 내용으로만 동작을 만드는 것이 아니고 작품의 스토리와 캐릭터를 고려하여 액션의 톤을 잡는 작업을 한다. 액션 설계

액션 디자인부터 배우에게 무술 지도까지 액션 신을 전담하여 연출하는 역할을 한다.

무술 감독이 본 액션 잘하는 배우 김남길 배우 굉장히 잘한다고 한다. 무술 감독보다 잘한다고 한다.

열혈사제 고난도 액션까지 직접 소화하는 김남길 발차기를 특히 잘하는 배우

액션 배우로 일한 지는 올해 12년 차 어렸을 때 뭘 하고 싶어했는지 생각을 좀 하다 보니 진짜 어렸을 때 어린이용 SF 드라마 후레쉬맨을 보고 진로를 선택했다.

그런 생각들을 하다 보니 저걸 연기하는 배우가 있을 텐데 현실적으로 고민을 하기 시작했고 그걸 전문적으로 부르는 이름이 슈트 액터라는걸 알게 되었다.

슈트 액터란 변신 후의 히어로나 괴인을 연기하는 전문 스턴트 배우

액션스쿨에 들어가려면 면접을 본다. 춤을 추는 지원자도 있다는데

정해진 요구 사항은 없지만 지원자들이 다양한 특기를 준비해 온다. 유퀴즈 김선웅 무술 감독의 경우 발차기 몇 번하고 끝났다.

근데 다른 지원자들을 보니 연기했다가 발차기 했다가 울고불고 연기하고 갑자기 색소폰도 불다가 다양한 것들을 한다.

액션스쿨 들어가 보니 너무 힘들었다. 운동하는 수준이 운동부랑 똑같다.

초반에는 체력 운동을 많이 한다. 기초 체력이 있어야 기술을 습득하기 때문. 오전 10시에 준비 운동을 짧게 하고 바로 구보를 뛴다.

거리상 그렇게 길진 않지만 굉장히 험난한 코스 언덕이 살벌하다.

한바퀴만 뛰어도 기진맥진 바로 인터벌 트레이닝 시작 왕복 달리기, 점핑, 복근 운동 50분 동안 쉴 새 없이 반복한다.

이런 사람도 있다 합격 후 첫날 구보를 뛰다가 회사로 안 들어오고 안녕히 계세요 여러분 집으로 간다. 그만큼 훈련이 힘들아는 슬픈 전설 

기초 체력 훈련을 한 다음에 기본적인 애션 훈련들 배운다. 주먹으로 때리고 발차기를 하고 피하고 맞고 떨어질 때 낙법 그리고 고난도 액션인 로프 액션과 와이어 액션까지 배운다.

특히 까다로운 액션이 있다면 'ㄹ'들어가면 다 힘들다. 말 칼 물 불

역시 가장 해복할 때는 무사히 마친 뒤의 격려 대역을 맡아 애겻ㄴ을 했을 경우

덕분에 좋은 그림 나왔어요 라는 한마디 존재의 가치를 알게 해주는 말 한마디가 가장 행복하다.

내가 주인공인 영화를 만든다면 언성 히어로 드너라지 않는 영웅

유퀴즈 주관심 문제 이것은 원래 프랑스어로 어둡다라는 뜻인데 1940년대 할리우드에서 유행한 범죄 영화 장르를 가리켜 프랑스 영화 비평가인 니노 프랑크가 이것이라 부르면서 영화 용어로 쓰이기 시작했다고 한다. 비극적인 결말과 어둡고 우울한 분위기가 특징인 이것은 무엇일까? 누아르.

728x90